반응형
XML과 JSON 기존에는 XML, JSON 파일 포맷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주고 받는데 했었다. 하지만 이 두 파일 포맷은 정해진 포맷 규칙 때문에 데이터가 많아진다면 작성하기가 번거롭고 읽기가 힘들다는 불편함이 있다. 다음은 같은 데이터를 XML과 JSON로 작성하여 비교해본 것 이다. 물론 JSON이 XML의 태그 문법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나온 파일 포맷이라 XML보다는 좀더 편리하지만 그래도 열고 닫는 괄호 {}, []들로 인해 불편함이 있다. YAML이란? YAML은 XML과 JSON이 사용하기 복잡하고 불편함 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1년 Clark Evans에 의해 최초 제안되었다. 원래는 "YAML Ain't Markup Language" "마크업 언어가 아니다" 라는 뜻으로 불렸으며 ..
YAML이란? YAML이란? (JSON, XML과 비교) XML과 JSON 기존에는 XML, JSON 파일 포맷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주고 받는데 했었다. 하지만 이 두 파일 포맷은 정해진 포맷 규칙 때문에 데이터가 많아진다면 작성하기가 번거롭고 읽기가 힘들다 hstory0208.tistory.com application.yml 스프링은 설정 데이터를 사용할 때 application.properties 뿐만 아니라 application.yml 이라는 형식도 지원한다. application.properties에 다음과 같은 옵션 설정이 있을 때 YAML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주의할점 application.properties , application.yml 을 같이 사용하면 application.prop..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 새 글 쓰기 |
W
W
|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 맨 위로 이동 |
T
T
|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