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PQL (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이란 ? JPQL은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쿼리 언어이다. JPQL의 문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나이가 18살 이상인 유저를 조회) select u from User as u where u.age > 18 JPQL은 SQL과 유사한 구문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살짝 다른 특징을 살펴보면 이렇다. JPQL 문법 특징 엔티티 클래스 이름, 엔티티 필드의 대소문자가 일치해야한다. ( 즉, 유저의 나이를 조회하는데 나이 필드가 age면 Age가 아닌 age로 작성 ) JPQL 키워드는 대소문자 구분하지 않는다. (SELECT, select, From, from)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쿼리이므로 엔티티 이름을 사용한다..
QueryDSL이란 ? SQL, JPQL 등을 코드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레임워크로 쿼리를 type-safe(컴파일시 에러 체크 가능)하게 Java 코드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QueryDSL은 동적 쿼리를 아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어 복잡한 동적 쿼리를 사용해야 할 때 QueryDSL을 사용하고 단순한 경우에는 Spring Data JPA를 사용합니다. QueryDSL은 JPA가 제공하는 JPQL을 코드로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빌더 역할을 하기 때문에 JPQL의 문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SQL과 JPQL의 문제점 QueryDSL을 이해하기 전에 먼저 SQL과 JPQL의 문제점을 알아봅시다. # SQL String sql = "select id, item_name, price, qu..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