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리코스 합격! 4주간의 프리코스가 끝나고 12월 16일!! 1차 합격 결과 발표날이 다가왔다. 발표 메일은 3시에 도착이었는데, 너무 긴장돼서 우테코 커뮤니티의 사람들 반응을 살펴보다가 메일을 열어봤다. 그 결과는.. 너무나도 기뻤다. 이 기쁨은 정말 말로 형용할수 없는 기쁨이었다.. 왜냐하면 작년 5기 탈락 이후로 나 자신을 성장시키기 위해서 정말 쉬지않고 1년간 성장하기 위해 쭉 달려왔었기에 이런 결과를 받은 순간 그 동안의 노력에 대한 보상을 받은 것 같아 정말 너무나도 기뻤다! 최종 코테 연습 발표 전에도 어떤 결과가 나올 진 모르지만 발표 후에 5일이란 시간밖에없기 때문에 5시간안에 미션을 완성시켜야하는 최종 코테에 맞춰 이전 기수들의 문제들을 5시간 타이머를 재고 풀어보는 연습을 해보았다. ..
4주차 미션 매주마다 새로운 미션을 받기 전에 열리는 "코치들과의 수다 타임" 코수타에서 4주차 미션은 역대급으로 어려운 난이도일 것 이라는 이야기를 하셨다. 너무나도 강조를 하셔서 대체 얼마나 어려울까? 하는 생각으로 미션을 받고 README를 열어보았다. 열어본 순간... 😳 4주차 미션은 바로"크리스마스 프로모션" 으로, 이전 미션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의 분량이 있었다. 😨 (기능 요구사항이 너무나도 구체적이여서 실제로 크리스마스 이벤트로 생각을 했던 프로모션이 아닐까 생각도 해보았었다 ㅋㅋ 🤣) 기능 목록의 양이 엄청 났던 만큼 전 보다 더욱 꼼꼼히 확인하며 어떤식으로 프로모션이 진행되는지 정리하였고 하나씩 기능 목록을 정리해나갔다. 하나씩 정리하다보니 "할만 하겠는데?"라는 생각이 들었고, 생각..
3주차 시작 3주차 미션은 "로또"를 받았다. 작년 5기 때 풀어본 문제기도 했어서 이번 미션은 쉽지 않으까?라는 생각했었다. 하지만 생각과 다르게 이번 미션은 1, 2주차 미션에 비교도 안될만큼 어려움이 있었다. 그 이유는 바로 추가된 많은 요구사항과 지금까지 받은 피드백들을 반영하려다 보니 더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나 싶다. 또한 로또 추첨 방식에 대해 착각하고 있어 완전히 다른 추첨을 하고 있던 코드를 갈아 엎고 "로또 추첨 방식" 같은 키워드로 검색해보면서 다시 제대로된 추첨 방법으로 수정하곤 했었다.. 😂 이번 3주차 로또는 다른 주차 미션과 마찬가지로 피드백과 이전 미션들에서 아쉬웠던 점들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이 많은 내용들을 반영하다보니 코드가 복잡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지는 부..
중복되는 코드 중에서 중복을 제거하기 어려운 로직을 제거하기 위해 알아보던 중 AOP 처럼 공통적인 기능을 한 곳에서 관리하고, 핵심 기능만을 분리할 수 없을까에 대해 고민해보다가 함수형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게 되어 대표적인 함수형 인터페이스와 사용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자 한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란? 자바 8부터 도입된 개념으로, 이름 그대로 "함수"를 위한 인터페이스다. 즉,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는 하나의 함수 처럼 동작하게 된다. 이 함수처럼 동작한다는 것은 입력을 받아서 출력을 내보는데 예를 들어, Function 이라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T라는 타입을 입력 받아 R이라는 타입의 출력한다. 그렇다면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는 T라는 타입의 입력을 받아 R이라는 타입을 반환하게 되..
2주차 미션 2주차 미션은 자동차 경주를 받았다. 2주차인 만큼 1주차에 비해 요구사항이 더 많아지긴 했지만 이번 미션은 생각보다 1주차 미션에 비해 구현이 쉬웠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래서 이번 미션에는 1주차 공통 피드백에 대한 내용과 1주차 미션 코드 리뷰를 통해 내 코드에 대해 아쉬웠던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1주차 회고 보러가기) 이 과정에서 많은 수정이 있었고 그 결과 107개라는 너무 많은 커밋 수가 나왔다.. 이번 2주차도 주어진 요구사항들에 추가로 나 자신에게 새로운 요구사항을 던져주었다. 나 자신에게 준 새로운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이 리뷰를 통해 받은 피드백 반영과 추가로 더 신경쓰고 싶은 부분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각 클래스 별로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기..
정적 팩토리 메서드란? 쉽게 말해 생성자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static Method를 사용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간단한 예시로 여러 장르(genre)를 가지는 게임(Game) 객체에 대한 코드를 살펴보자. 생성자 public class Game { private String genre; public Game(String genre) { this.genre = genre;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ame game = new Game("FPS"); } 정적 팩토리 메서드 public class Game { private String genre; private Game(String genre) { } public static G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