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설명 N개의 스티커가 원형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N = 8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원형으로 연결된 스티커에서 몇 장의 스티커를 뜯어내어 뜯어낸 스티커에 적힌 숫자의 합이 최대가 되도록 하고 싶습니다. 단 스티커 한 장을 뜯어내면 양쪽으로 인접해있는 스티커는 찢어져서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에서 14가 적힌 스티커를 뜯으면 인접해있는 10, 6이 적힌 스티커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스티커에 적힌 숫자가 배열 형태로 주어질 때, 스티커를 뜯어내어 얻을 수 있는 숫자의 합의 최댓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원형의 스티커 모양을 위해 배열의 첫 번째 원소와 마지막 원소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간주합니다. 제한 사항 sticker는 원형으로 ..
IP 란 ?IP는 8비트 씩 4자리로 이루어진 32 자리 이진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아래 포스팅에 IPv4 와 IPv6에 대해서도 한번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IPv4와 IPv6 란? IPv4와 IPv6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IP란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 IP 는 IPv4 와 IPv6 두 가지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IPv4를 많이hstory0208.tistory.com 192.168.0.1 위 IP 주소를 예를 들어 이진수로 표현했을 땐 다음과 같습니다. 2^7 ( 128 )2^6 ( 64 )2^5 ( 32 )2^4 ( 16 )2^3 ( 8 ) 2^2 ( 4 ) 2^1 ( 2 )2^0 ..
동적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란? 동적 프로그래밍은 "큰 문제"를 "부분 문제"로 나누고, "부분 문제"의 정답으로 "큰 문제"의 답을 찾는 알고리즘 설계 기법입니다. 동적 프로그래밍의 대표적인 예로 피보나치 수열을 예로 들 수 있는데요, 이 점화식을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1] = 1 F[2] = 1 F[1] = F[2] F[i] = F[i-1] + F[i-2] 점화식은 재귀식이라고도 하며 위 코드를 보면 피보나치 수열은 재귀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DP를 적용하기 위한 2가지 조건 동적 프로그래밍을 적용시키기 위해선 다음 고같은 두 가지가 만족되어야 합니다. 부분 반복 문제(Overlapping Subproblem) 최적 부분 구조(Op..
문제 설명 땅따먹기 게임을 하려고 합니다. 땅따먹기 게임의 땅(land)은 총 N행 4열로 이루어져 있고, 모든 칸에는 점수가 쓰여 있습니다. 1행부터 땅을 밟으며 한 행씩 내려올 때, 각 행의 4칸 중 한 칸만 밟으면서 내려와야 합니다. 단, 땅따먹기 게임에는 한 행씩 내려올 때, 같은 열을 연속해서 밟을 수 없는 특수 규칙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 1 | 2 | 3 | 5 | | 5 | 6 | 7 | 8 | | 4 | 3 | 2 | 1 | 로 땅이 주어졌다면, 1행에서 네번째 칸 (5)를 밟았으면, 2행의 네번째 칸 (8)은 밟을 수 없습니다. 마지막 행까지 모두 내려왔을 때, 얻을 수 있는 점수의 최대값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위 예의 경우, 1행의 네번째 칸 ..
문제 설명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 ( 수포자들의 답안 패턴을 찾기 쉽도록 글자색으로 나누었습니다. ) 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2, 1, 2, 3, 2, 4, 2, 5, 2, 1, 2, 3, 2, 4, 2, 5, ...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3, 3, 1, 1, 2, 2, 4, 4, 5, 5, 3, 3, 1, 1, 2, 2, 4, 4, 5, 5, ...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OSI 7 계층(OSI 7 LAYER)이란 ? OSI 7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으로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고 7계층 중 어느 한 부분에 이상이 생겼다면 전체를 건들이지 않고 이상이 생긴 특정 부분만 고칠 수 있습니다. OSI 7 계층 우측의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IP 는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한 것입니다. 순서 목적 설명 L7 -> L1 Data 전송 전송 시 7계층에서 1계층으로 각각의 층마다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 헤더를 붙입니다. (캡슐화) L1 -> L7 Data 수신 수신 시 1계층에서 7계층으로 헤더를 떼어냅니다. (디캡슐화) 예시 PC방에서 롤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