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radle이란 ? Gradle은 CI/CD를 위해 아래 작업들을 자동화 시켜 주는 Groovy 기반의 오픈소스 빌드 도구입니다. Compile - Java 파일의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바이트 코드로 변환 Test - 유닛 테스트, UI 테스트 Packaging - 스프링 코드를 패키징 해 .jar 파일이나 .war 파일로 생성 Deploy & Run - 서버 실행 빌드 도구란?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들어주는 도구를 말합니다. 빌드 과정을 자동화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빌드 관리 도구 도는 빌드 자동화 도구라고 불리기도합니다. Gradle Project 구성 .gradle - gradle 버전 별 엔진 및 설정 파일 .idea - ..
문제 설명 라디오를 자주 듣는 네오는 라디오에서 방금 나왔던 음악이 무슨 음악인지 궁금해질 때가 많다. 그럴 때 네오는 다음 포털의 '방금그곡' 서비스를 이용하곤 한다. 방금그곡에서는 TV, 라디오 등에서 나온 음악에 관해 제목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네오는 자신이 기억한 멜로디를 가지고 방금그곡을 이용해 음악을 찾는다. 그런데 라디오 방송에서는 한 음악을 반복해서 재생할 때도 있어서 네오가 기억하고 있는 멜로디는 음악 끝부분과 처음 부분이 이어서 재생된 멜로디일 수도 있다. 반대로, 한 음악을 중간에 끊을 경우 원본 음악에는 네오가 기억한 멜로디가 들어있다 해도 그 곡이 네오가 들은 곡이 아닐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네오는 기억한 멜로디를 재생 시간과 제공된 악보를 직접 보면서 비교하려고..
문제 설명 길이가 같은 두 개의 큐가 주어집니다. 하나의 큐를 골라 원소를 추출(pop)하고, 추출된 원소를 다른 큐에 집어넣는(insert) 작업을 통해 각 큐의 원소 합이 같도록 만들려고 합니다. 이때 필요한 작업의 최소 횟수를 구하고자 합니다. 한 번의 pop과 한 번의 insert를 합쳐서 작업을 1회 수행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큐는 먼저 집어넣은 원소가 먼저 나오는 구조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큐를 배열로 표현하며, 원소가 배열 앞쪽에 있을수록 먼저 집어넣은 원소임을 의미합니다. 즉, pop을 하면 배열의 첫 번째 원소가 추출되며, insert를 하면 배열의 끝에 원소가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큐 [1, 2, 3, 4]가 주어졌을 때, pop을 하면 맨 앞에 있는 원소 1이 추출되어 [2, 3, ..
JSP와 Servlet은 레거시 시스템에 주로 사용되어 왔고, 요즘 프로젝트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느정도에 대한 이해는 필요하기 때문에 포스팅을 다뤄보려합니다. JSP와 Servlet은 모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Java 기술으로 웹(Web)을 조금 더 쉽게 다룰 수 있도록 해주는 확장 기능입니다. 이 둘은 서로 비슷한 점이 많지만 목적과 구현에서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둘의 개념과 차이점에 대해 포스팅해보려합니다. Servlet servlet은 웹 서버에서 실행되고 HTTP 요청에 대한 동적인 처리가 가능한 파일 확장자가 .java인 Java 프로그램으로, 웹을 다룰 수 있도록 해주는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은 클래스들을 se..
문제 설명 카카오에 신입 개발자로 입사한 "콘"은 선배 개발자로부터 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하라는 업무 과제를 받았습니다. 소스를 컴파일하여 로그를 보니 대부분 소스 코드 내 작성된 괄호가 개수는 맞지만 짝이 맞지 않은 형태로 작성되어 오류가 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정해야 할 소스 파일이 너무 많아서 고민하던 "콘"은 소스 코드에 작성된 모든 괄호를 뽑아서 올바른 순서대로 배치된 괄호 문자열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려고 합니다. 용어의 정의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 있을 경우, '(' 의 개수와 ')' 의 개수가 같다면 이를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여기에 '('와 ')'의 괄호의 짝..
spring을 실행시켜 localhost:8080으로 접속 시 만들지도 않은 아래와 같은 로그인 화면이 나와서 당황스러웠었습니다. 검색해서 알아 본 결과, 해당 페이지는 build.gradle에 스프링 시큐리티 의존성을 주입하면 자동으로 추가되는 화면 이라고 합니다. 이전에 책으로 실습했던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그대로 갖고왔다보니 OAuth2의 의존성도 같이 가져와 해당 페이지가 나오는 것이였습니다.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oauth2-client') // 스프링 시큐리티 의존성 이 기본 로그인 페이지를 없애려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Main.java 클래스 파일에 다음과 같이 @SpringBoot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