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ombok 이란? Java의 라이브러리로 반복되는 메서드를 Anntation을 사용해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아주 편리한 라이브러리입니다. Java에서 보통 Model 클래스나 Entity같은 도메인 클래스 등에는 여러 속성이 존재하고 이들이 갖는 프로퍼티에 대해서 Getter, Setter, 생성자 등을 매번 작성해줘야하지만 Lombok을 이용한다면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는 것 만으로 자동으로 Getter, Setter, 생성자 등의 코드를 작성해줘 번거로운 과정을 제거해줍니다. 인텔리제이 Lombok 설치 및 적용 방법 1. 파일 -> 설정 -> 플러그인 에서 lombok을 검색 후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2. build.gradle의 dependency에 아래 코드를 추가합니다. dependencies ..
Spring Bean의 생명 주기 Spring Bean은 다음과 같은 생명 주기를 갖습니다.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 관계 주입(DI) => 초기화 콜백 => 사용 => 소멸전 콜백 => 스프링 종료 위 생명 주기를 보면 스프링 빈(Spring Bean)은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관계 주입이 다 끝난 후에야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 됩니다. 즉, 생성자가 호출되었을 때 스프링 빈은 초기화 전이고 DI(의존관계 주입)이 이루어 지고 나서야 스프링 빈이 초기화 됩니다. 초기화 작업은 의존관계 주입이 모두 완료되고 난 다음에 호출하게 되는데, 개발자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시점이 언제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Spring은 다음과 같은 빈 생명주..
Spring이 나오기 이전엔 ? Java로 개발을 하던 초기에는 EJB(Enterprise Java Beans) 라는 기술을 사용했었습니다. 하지만 EJB는 이론적인 부분은 매력적이였지만 상당히 가격이 비쌌고, 복잡하고 어렵고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 EJB로 개발하는 것은 지옥과 같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부정적인 말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차라리 EJB를 쓸 빠에는 POJO(Plain Old Java Object) 순수한 옛날 자바로 돌아가자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었습니다. 그러다 EJB에 지친 개발자들이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Spring이라는 오픈소스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 Spring은 EJB의 복잡하고 어렵고 느리고 비싼 단점들을 개선하고 수 많은 편의기능들을 제공하여 Spring이라는 이름은 "EJB라는 ..
Sping boot를 이용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의 프론트 변경사항이 변경될 때서버를 종료했다 다시 시작했다 하는 건 상당히 귀찮다...;;하지만 이 귀찮은 부분을 spring-boot-devtools 라이브러리로 재시작하지 않고 페이지를 새로고침함으로써 변경사항을 반영시킬 수 있다. spring-boot-devtools 적용하기적용 방법은 정말 간단하다. 1. build.gradle에 의존성 추가아래의 코드를 build.gradle의 dependencies에 추가합니다.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2. IntelliJ 환경 설정1. File -> Setting -> Advanced Settings -> Compiler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