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afka 선택 이유알림 전송에 Kafka를 도입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필자의 과일샵 쇼핑몰 프로젝트는 아래 처럼 회원 서버와 어드민 서버로 나뉘어져 있다.두 서버가 DB는 공유하고 있지만 ,어드민 서버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회원 서버로 전달할 수가 없었다.또한 알림에 대한 처리를 기다릴 필요가 없어 비동기로 처리할 수 있었다.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afka를 도입하게 되었다.Kafka외에도 RabbitMQ나 Redis를 고려 해 볼 수도 있었지만, 분산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큰 기업들에서 사용하고 있어 경험해보기 위해 Kafka를 선택하게 되었다. [Kafka] 카프카란 ? 주요개념 정리 및 Pub/Sub 모델 비교카프카(kafka) 란? Kafka는 대규모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
무중단 배포란? 무중단 배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실제 서비스를 서버 한대만을 사용해 운영한다고 가정해보자. 현재 서비스 중인 서비스는 application-V1을 배포한 서비스이다. 그런데 기능이 업데이트되어 application-V2를 새로 개발해 새로운 버전을 배포하려한다. 이 새로운 버전 V2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V2 버전의 빌드 파일을 서버에 배포를 해야한다. V1과 V2는 서로 같은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V2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V1버전을 통해 실행하고 있는 서비스를 종료해야만한다. 이 경우 V1이 종료되고 V2 버전이 실행되는 사이 유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시간이 생기는데, 이를 "다운타임"이라고 한다. 무중단 배포 무중단 말 그대로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은 상태로 새로운 버전을 배포..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는 하얀색 박스는 모두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부분이고 파란색 박스 부분은 공급체로 부터 제공 받는 부분입니다. 전통적인 IT는 사용자가 직접 하나 부터 열 까지 다 관리 해야했다면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별로 제공되는 부분을 관리 받을 수 있어 사용자는 모든것을 다 관리 할 필요 없습니다. IaaS (Infrastructrue as a Service) - 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IT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 IaaS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On-premise 방식보다 확장성이 좋으며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탄력적으로 리소스를 관리함으로써 리소스 낭비를 줄여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장점 고객은 가상 서버 하위의 레벨에 대해서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개발을하거나 개발공부를 하면서 한번쯤은 들어보거나 처음들어보는 사람도 있을겁니다. 저는 비전공자로 부트캠프로 개발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는데 그 부트캠프가 바로 DevOps 부트캠프였었습니다. 이 당시 개발 분야에 대한 지식도 전무했고, 단순히 요즘 뜨는 직군이고 클라우드의 중요성이 점점 확대 됨에따라, DevOps 직군의 중요도는 점점 더 커질 것이라는 것에 지원하여 4개월동안 공부를 하였습니다. 비록 짧지만 4개월 동안 DevOps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DevOps가 무엇인지 어떤일을 하는지 알리고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DevOps란 ? DevOps는 개발(Development) 와 운영(Operation)이 합쳐져 탄생한 개발 방법론입니다. 이렇게 보면 개발과 운영을 다하는게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