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선 Lock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트랜잭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트랜잭션에 대해 모른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트랜잭션이란? 특징과 사용법에 대해 쉽게 알아보자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은 DB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단위입니다. 여기서 DB의 상태를 변경시킨다는 SELECT, UPDATE, INSERT, DELETE 와 같은 쿼리를 날려 연산을 수행하는 것입니hstory0208.tistory.com 락(Lock)이란 ?두 명의 사용자가 DB에 접근해 아래 처럼 2개의 DB 세션을 사용한다고 가정해봅시다. ( 여기서는 H2 DB 사용 )편의상 두 개의 세션을 나눠서 세션1, 세션2라고 부르겠습니다.세션1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데이터를 수정하는 동안 아직 커..
트랜잭션(Transaction)트랜잭션은 DB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단위입니다.여기서 DB의 상태를 변경시킨다는 SELECT, UPDATE, INSERT, DELETE 와 같은 쿼리를 날려 연산을 수행하는 것입니다.트랜잭션을 좀 더 쉽게 풀이해서 이야기 하자면, 트랜잭션을 한국어로 번역하면 "거래"즉, DB에서 트랜잭션은 하나의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보장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보장해준다는 말이 무엇일까요?이 얘기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우리가 일상속에서 자주 이용하는 계좌이체를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계좌이체 예시 ( 트랜잭션이 없을 경우 )짱구와 철수가 있습니다.짱구와 철수는 각각 계좌에 10000원씩 있습니다.짱구가 철수한테 ..
데이터베이스 ( Database )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고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 관리되는 데이터들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관리했다고 합니다.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면 파일 단위로 저장할때, 데이터 종속성 문제와 중복성, 데이터 무결성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점을 해결 해주는 데이터베이스가 등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합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자료항목의 중복을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자료 검색과 갱신의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업무가 확대되어도 새로 파일을 준비할 필요가 ..
RDBMS와 NoSQL의 차이점 CS 면접 단골 질문이라고 하더라구요 ? 간단한 차이점에 대해 아는 사람은 많겠지만 깊이 있게 아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그렇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RDBMS가 무엇인지 ? NoSQL이 무엇인지 ? 어떤 차이점을 갖고 있는지 설명해보려합니다. 데이터베이스 기초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쉽게 정리하여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22.09.21 - [CS 기초 지식/[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기초) DBMS, SQL 쉽고 간단하게 이해해보자. (데이터베이스 기초) DBMS, SQL 쉽고 간단하게 이해해보자. 데이터베이스 ( Database )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고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 관리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