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ecure Shell Protocol" 즉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개발을 하다보면 한번씩은 꼭 접해봤을 겁니다.대표적인 예로는 Github을 사용할 때로, Github에 코드를 푸쉬하거나 Github 레포지토리를 clone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SSH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원격 로그인하여 ( 예를 들어, AWS EC2 원격접속 ),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 ( SCP 명령어 ) 할 수 있습니다.데이터 전송원격 접속원격 제어 SSH를 사용하는 이유는, FTP나 Telnet과 같은 다른..
쿠키, 캐시, 세션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먼저 HTTP의 특징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합니다. HTTP에 대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HTTP와 HTTPS의 개념 및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란 ? “하이퍼텍스트(HyperText)를 전송(Transfer)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Protocol)”. HTTP는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HTTP는 80번 포트에서 요청을 기다리.. hstory0208.tistory.com HTTP에 대한 특징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HTTP는 Stateless ( 무상태성 )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주고 받아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습니다. HTTP는 통신 후, 통신이 끝나면 클라이언..
NAT란 네트워크 주소 변환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줄여서 NAT 라고 합니다.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공인 IP 와 사설 IP를 나누어서 사용하게 되는데,이 공인 IP와 사설 IP의 경계에서 인터넷 주소를 주고 받으며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아마 공유기를 설치한 경험 다들 있으실 겁니다.공유기를 설치할 때 랜선을 공유기 뒤 쪽 포트에 꽂게 됩니다.그 랜선엔 우리 집에 부여된 공인 IP가 있습니다. 외부의 네트워크에서 우리 집에 랜선을 끌어 오면서 우리 집의 공간이 공유기를 통해 사설네트워크(사설망)가 된 것입니다. IP는 각 기기당 1나 씩만 할당되는데, 공유기에는 한개의 랜선만 꽂혀서 1개의 IP만 부여 받았는데 어떻게 집에 있는 여러 전자..
IPv4와 IPv6 란? IPv4와 IPv6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IP 주소 ( Internet Protocol Address ) 란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PC에 접hstory0208.tistory.com위 포스팅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가 사용하는 IPv4는 사용가능한 IP 갯수가 43억개이지만,전세계가 발전하면서 전자기기가 점점 많아지고, 인터넷 수요가 늘어나면서 IPv4 주소가 부족한 문제를 겪고있습니다.IPv4의 문제점을 보완한 IPv6가 나오긴 했지만 기존의 주소체계에서 IPv6로 변경하기엔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기 때문에 아직 IPv4를 사용하는 실정입니다. 이번..
도메인 ip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 이름을 부여할 수 있게 했는데, 이것을 도메인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도메인을 통해 한눈에 파악하기 힘든 IP 주소를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도메인이란 ? 도메인의 구조 도메인은 Root(루트) 라 불리는 도메인 이하에 역트리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루트 다음으로 다음과 같이 2가지 도메인으로 나뉩니다. 1. 국가 최상위 도메인(ccTLD) - 2단계 도메인 SLD(Second Level Domain) ccTLD 다음단계 2.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국가 최상위 도메인(ccTLD) 인터넷 상으로 국가를 나타내는 도메인으로 'kr(대한민국)', jp(일본), cn(중국), us(미국) 등 영문으로 구성된 영문 국가..
Gateway ( 게이트웨이 ) 란 ? “한 네트워크(segment)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지점” 으로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이 다를 경우에 중재 역할을 해줍니다. <p data-ke-size="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