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레임워크(Framwork) 이미 완성되어 있는 뼈대, 틀을 의미하며, 우리는 제공된 틀안에서 주어진 규칙을 지켜가며 사용합니다. 쉽게 예를 들면 우리가 성공해서 건물을 하나 올린다고 생각해봅시다. 건물으 세운다면 그저 우리가 원하는데로 막 지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나라에서 정한 건축법에 따라 그 규칙에 맞게 지을 수 있습니다. Java의 Spring에서 규칙 하나를 예를 들면 정적 리소스는 resources/static 폴더에, 동적 리소스는 resources/template 폴더에 담는 규칙이 있죠. 우리는 이미 완성되어 있는 프레임워크를 정해진 규칙에 맞게 사용하여 필요한 기능을 직접 구현할 필요 없이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워크 예 Java 서버 개발에 사용되는 ..
힙(Heap)이란 ? 완전 이진 트리의 일종으로, 데이터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빠르게 찾기 위해 만들어진 자료구조입니다. 힙을 사용하는 이유는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기 위해 배열을 사용하는 경우 O(n)의 시간복잡도가 걸리는 반면, 힙을 사용하면 O(logn)의 시간복잡도가 소요되므로 시간적으로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완전 이진 트리 (Complete Binary Tree)란 ? 이진 트리에 노드를 삽입할 때 왼쪽부터 차례대로 삽입하는 트리로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만약, 왼쪽이 비어 있고 오른쪽이 채워져있다면 완전 이진 트리라고 할 수 없습니다. 힙의 특징 힙은 최대 힙과 최소 힙으로 나눠집니다. 최대 힙(max heap) : 부모 노드의 값이 자식 노드이 값보다 크거나 같은 완전 이진 트리. ( 부모 ..
Code Conventions(코딩 규칙)을 왜 알아야 할 까 ? 개발하는 과정 속에서 구현하는 비용보다 유지보수의 비용이 더 크게 들어가는데 프로젝트나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면서 작성한 코드를 나만 보는 것이 아니라 참여한 모든 개발자들이 보게 됩니다. 하지만 나만의 방식으로 코드를 짰다면 다른 사람들이 봤을 때 이해하기가 힘들겠죠. 예를 들자면 나만의 독특한 글씨체로 글을 쓴 편지를 친구에게 보냈는데 그 친구가 그 편지를 읽는데에 해독이 필요한 것처럼요. 그래서 Code Conventions이 필요합니다. 정해진 Code Conventions에 맞춰 코드를 작성하게 된다면 나 외의 다른 사람들도 코드를 해석하는데 빠르게 이해할 수 있어 지게 되므로 가독성이 좋아지게 됩니다. 이 포스팅에서 설명할 컨벤션..
MVC란 ?MVC 패턴의 등장하나의 서블릿이나 JSP만으로 비즈니스 로직과 뷰 렌더링까지 모두 처리하게 되면, 너무 많은 역할을 하게됩니다.그렇게 되면 비즈니스 로직을 호출하는 부분에 변경이 발생해도 해당 코드를 손대야 하고, UI를 변경할 일이 있어도 비즈니스 로직이 함께 있는 해당 파일을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HTML 코드 하나 수정하거나 비즈니스 로직하나를 수정하는데, 수백 수천줄의 HTML코드나 자바 코드가 함께 있다면 정말 지옥일 겁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MVC 패턴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MVC 는 Model - View - Controller의 약자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3가지로 구분한 패턴입니다. Model데..
인터페이스란 ? 인터페이스는 일종의 추상클래스로, 추상메서드를 갖지만 추상클래스보다 추상화 정도가 높아 추상클래스와 달리 몸통을 갖춘 일반 메서드 또는 멤버변수를 구성원으로 가질 수 없습니다. 오직 추상메서드와 상수만을 멤버로 가질 수 있으며, 그 외의 다른 어떠한 요소도 허용되지 않습니다. 추상 클래스를 부분적으로만 완성된 "미완성 설계도"라고 한다면, 인터페이스는 구현된 것은 아무것도 없는 그냥 스케치만 되어 있는 "기본 설계도"라 할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의 특징 다중 상속이 가능하다. 추상 메서드와 상수만을 가진다. 생성자 생성이 불가능하다. 메서드 오버라이딩이 필수적이다. 인터페이스의 장점 1. 개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서드를 호출하는 쪽에서는 메서드의 내용과 관계없이..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Object Oriented Programming ) 이란 ? 먼저 OOP를 이해하기 위해선 절차지향적 프로그래밍에 대해 알아야하는데요,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 PP : Procedural Programming )에 대해 설명하자면, 순차적인 처리를 중요시하며,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어렵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등의 단점이 있지만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OOP는 위와 같은 절차지향적 프로그래밍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객체란 "실제로 존재하는 것"으로 우리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책상, 의자, 컴퓨터와 같은 사물들을 곧 객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OOP )은 현실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