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스프링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
스프링 컨테이너는 객체를 Bean으로 등록해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동일한 객체가 매번 생성되지 않고 하나만 생성해 공유해 사용하는 이 싱글톤 방식은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프링 싱글톤 방식에서 주의해야할 점에 대해 다뤄보려한다. 싱글톤 방식에서 주의할 점 싱글톤 방식은 하나의 객체를 여러 스레드가 공유한다. 이 공유한다는 점에서 주의할 점이 있다. 하나의 객체를 여러 스레드가 공유하기 때문에 객체의 필드 (상태)까지 공유 될 수 있다. 즉, 스프링 컨테이너에 Bean으로 등록되는 객체(Bean)은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해야한다. 만약 상태를 갖게 설계하면 어떤일이 벌어질까? 글만 보는 것보다 예시를 보는 것이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