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라이언트로와 서버 요청 응답을 http로 통신하고 있는 상황에서모든 요청 응답에 암호화를 적용하기 위해 API 서버에 https를 적용하려 한다.http와 https의 차이가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2022.09.22 - [◼ CS 기초 지식/[네트워크]] - HTTP와 HTTPS의 개념 및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서버에 https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들여러 서칭 결과 서버에 https를 적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었다. AWS(유료) -> Route53 + ACM + ALB(Application Load Balancer)1. ACM으로 특정 도메인에 대한 SSL 인증서 발급2. Route53에서 DNS 레코드 생성 후 도메인 소유권 확인 및 인증서 발급 대기3. ALB를 적용해 ..
HTTP 요청 방법 3가지 스프링 HTTP 요청 방법 3가지는 다음과 같이 이뤄져있습니다. GET 방식 메시지 바디 없이, URL의 “쿼리 파라미터”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 EX : 검색, 필터, 페이징 등에서 많이 사용 ) 쿼리 파라미터는 URL에 다음과 같이 ? 를 시작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추가 파라미터는 & 로 구분합니다. http://localhost:8080/request-param?username=hello&age=2 POST 방식 - HTML Form HTML의 Form을 사용해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 주로 회원 가입, 상품 주문 등에서 사용합니다. 컨텐츠 타입은 다음과 같으며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메시지 바..
HTTP 메서드 종류 HTTP 메서드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뤄지는 요청과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HTTP 메서드는 총 9가지가 있으며 주로 GET, POST, PUT, PATCH, DELETE를 사용합니다. 메서드 이름 설 명 GET 리스소 조회 POST 등록, 요청 데이터 처리 PUT 리소스 덮어쓰기 (해당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 PATCH 리소스 부분 분경 (PUT은 전체 변경이지만, PATCH는 일부만 변경) DELETE 리소스 삭제 HEAD GET과 동일하나 메시지 부분(Body)를 제외하고, 상태 줄과 헤더만 반환 OPTIONS 대상 리소스에 대한 통신 가능 옵션(메서드)을 설명 (주로 CORS에서 사용) CONNECT 대상 자원으로 식별되는 서버에 대한 터널을 설정 TRAC..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규칙)으로 이렇게 규칙을 정해두었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이 이 규칙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HTTP 시대라 할 만큼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HTTP를 사용해 전송할 수 있습니다.HTML, TEXTIMAGE, 음성, 영상, 파일JSON, XML서버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HTTP의 역사HTTP/0.9 - 1991년 :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 XHTTP/1.0 - 1996년 : 메서드, 헤더 추가HTTP/1.1 - 1997년 :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버전HTTP/2 - 2015년 : 성능 개선HTTP/3 - 현재 ..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란 ?“하이퍼텍스트(HyperText)를 전송(Transfer)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Protocol)”.HTTP는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HTTP는 80번 포트에서 요청을 기다리고 클라이언트는 80번 포트로 요청을 보냅니다. HTTP의 특징Stateless ( 무상태성 ) 을 가져,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입니다.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 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정보를 일반 텍스트로 보내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사이버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데이터를 누구나 가로챌 수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IP(Internet Protocol)의 한계복잡한 인터넷 망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 일종의 규칙이 있어야하는데, 이때 IP 주소를 통해 통신할 수 있게 됩니다.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보낼 때 그냥 보내는 것이 아니라 Packet(패킷)으로 포장해 데이터를 보내게 됩니다.( Packet :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쉽게 자른 데이터 전송 단위. 쉽게 말해 택배 포장 박스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이 과정에서 IP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습니다.1. 비연결성 -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이 전송된다.2. 비신뢰성 -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거나 패킷이 보낸 순서와 다르게 전송할 수 있다.3.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