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rng/JPA] Dto와 Entity를 분리해서 사용하는 이유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강의, 책을 보면 항상 엔티티를 직접 반환하지말고 DTO로 변환하여 반환하라는 말을 접하거나 보았을 것이다.하지만 단순히 "아 ~ 그렇게 하라니까 그렇게 해야지" 보다는 "왜? 엔티티를 직접 사용하지 말고 DTO를 사용해야하는가"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DTO와 Entity 구분DTO(Data Transfer Object)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된 객체Entity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객체로, 데이터베이스와 직접적으로 연결Enttity를 직접 반환할 경우 생기는 문제점엔티티 구조 변경 시 발생하는 문제예를 들어 요구사항이 변경되어 엔티티의 필드 이름이 변경 될 경우, API 스펙이 변경되어 추가 작업이 요구된다.이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