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브쿼리는 쿼리의 여러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대표적으로 SELECT, FROM, WHERE 절에 사용될 수 있다.하지만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쿼리의 성능 영향도와 MySQL 서버의 최적화 방법은 완전히 달라진다.각 절마다 어떻게 최적화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쿼리를 작성해야 성능에 도움이 될지 살펴보자.SELECT 절에 사용된 서브쿼리SELECT 절에 사용된 서브쿼리는 내부적으로 임시 테이블을 만들지도 않고 비효율적으로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서브쿼리가 인덱스만 적절히 사용한다면 크게 주의할 사항은 없다.(단, 상관 서브쿼리의 경우 다름) 일반적으로 SELECT 절에 서브쿼리를 사용하면 그 서브쿼리는 항상 컬럼과 레코드가 하나인 결과를 반환해야 한다.즉, 값이 NULL이든 아니든 관계 없이 레코드가 딱 1건..
기본 문법들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QueryDSL을 사용하기 위한 세팅 방법이나 사용방법들에 대해 알고 싶다면 아래의 포스팅들을 참고하면 된다. 2023.07.10 - [오픈소스] - QueryDSL 사용법, DTO 반환 방법 정리 2023.06.27 - [오픈소스] - [QueryDSL] 스프링부트 3.x 버전에서 QueryDSL 설정하기 QueryDSL 문법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QueryDSL은 JPAQueryFactory를 사용하여 JPQL을 생성하고 실행한다. 작성하는 쿼리문을 보면 JPQL 문법이랑 동일하고, 뒤에 . 을 붙여 체인으로 연결하여 java 코드로 작성한다. // static import 방법으로 작성 import static study.querydsl.entity.QMember...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 새 글 쓰기 |
W
W
|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 맨 위로 이동 |
T
T
|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