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산락이란?분산된 서버에서 공유 자원에 동시에 접근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이다.Lock에 대한 정보를 분산된 서버가 접근 가능한 공통적인 저장소에 저장하고 분산 서버들은 저장된 Lock을 보고 접근 여부를 판단한다.이 공통적인 저장소는 Redis, Mysql, Zookeeper를 활용하여 분산 락을 적용할 수 있다. 분산락 적용 계기...현재 우리 서비스의 주 기능인 출발 알림 시간, 도착 예정 시간 목록 기능은 외부 API를 사용하고 있다.현재 사용하는 외부 API는 호출 횟수에 따라 정지, 과금 될 수 있어 정확한 호출 횟수가 필요하다.그렇기 때문에 API 호출 시 마다 호출 횟수를 카운팅해 DB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자 페이지에서 확인하고 있다. 현재 우리 서비스의 핵..
동시성이란? 여러 쓰레드가 동시에 같은 인스턴스의 필드 값을 변경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동시성 문제라고 합니다. 이런 동시성 문제는 여러 쓰레드가 같은 인스턴스의 필드에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트래픽이 많을 때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자바의 스프링은 기본적으로 스프링 빈을 싱글톤으로 등록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의 필드를 변경하며 사용할 때 이러한 동시성 문제를 조심해야 합니다. ( 동시성 문제는 값을 읽기만 하면 발생하지 않고, 값을 변경하기 때문에 발생 ) 동시성 문제는 쓰레드마다 각각 다른 메모리 영역이 할당 지역 변수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동시성 문제가 주로 발생하는 곳은 같은 인스턴스의 필드(주로 싱글톤에서 자주 발생) 접근, 또는 static 같은 공용 필드에 접근할 때 발생합니다. 동시성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