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 컬렉션 조회 시 주의할 점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반응형

DTO를 조회 하되, 그 안에도 엔티티가 있을 경우 DTO로 변환해서 사용해야한다.

아래 그림은 Order와 OrderItem 엔티티의 일부 코드로 "1 : 다" 양방향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전 포스팅에서 엔티티를 직접 반환하면 안되는이유에 대해 알아봤었다. 

 

[Spirng/JPA] Dto와 Entity를 분리해서 사용하는 이유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강의, 책을 보면 항상 엔티티를 직접 반환하지말고 DTO로 변환하여 반환하라는 말을 접하거나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아 ~ 그렇게 하라니까 그렇게 해야지" 보다

hstory0208.tistory.com

 

컬렉션도 마찬가지다. 컬렉션도 엔티티를 DTO로 변환해서 반환해야한다.

Order와 OrderItem이  연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 처럼 Order의 값을 갖고오는데 Order안에 있는 OrderItems 컬렉션을 갖고오기 위해서

OrderItems 도 DTO로 변환해서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Order
@Getter
public class OrderDto {
    private Long order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private OrderStatus orderStatus;
    private Address address;
    private List<OrderItemDto> orderItems;

    public OrderDto(Order o) {
        this.orderId = o.getId();
        this.name = o.getMember().getName();
        this.orderDate = o.getOrderDate();
        this.orderStatus = o.getStatus();
        this.address = o.getMember().getAddress();
        this.orderItems = o.getOrderItems().stream()
                .map(orderItem -> new OrderItemDto(orderItem))
                .collect(Collectors.toList());
    }
}

 

OrderItem
@Getter
public class OrderItemDto {
    private String itemName;
    private int orderPrice;
    private int count;

    public OrderItemDto(OrderItem orderItem) {
        this.itemName = orderItem.getItem().getName();
        this.orderPrice = orderItem.getOrderPrice();
        this.count = orderItem.getCount();
    }
}

 


fetch join 시 발생하는 문제점

 

위 두 엔티티는 지연로딩으로 설정되어 있고, 양방향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Order 엔티티를 조회했을 경우 수많은 쿼리가 나가게 된다. (N + 1 문제)

 

그래서 이 경우에 fetch join을 사용해 SQL을 한번만 실행하도록 최적화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컬렉션 fetch join시 데이터 중복 발생

만약 Order에는 2개의 행이 있고, OrderItems에는 4개의 행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때 Order를 조회하면 기대하는 행의 수는 2개이지만 4개의 행이 조회가 된다.

이 이유는 동일한 객체가 Json 데이터가 중복되어 전달되었기 때문인데 

이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 DISTINCT 키워드를 앞에 붙여주면 해결가능하다.

 

참고로 컬렉션 페치 조인은 1개만 사용할 수 있다.
컬렉션 둘 이상에 페치 조인을 사용하면 데이터가 부정합하게 조회될 수 있다.

 

페이징 불가

컬렉션을 fetch join하는 순간 페이징이 불가능해진다. 

컬렉션을 페치 조인하면 1 : 다 조인이 발생하므로 데이터가 예측할 수 없이 증가한다.

1 : 다에서 1을 기준으로 페이징을 하는 것이 목적인데 데이터는 다(N)를 기준으로 row(행)가 생성된다.

Order를 기준으로 페이징 하고 싶은데, 다(N)인 OrderItem을 조인하면 OrderItem이 기준이 되어 버린다.

이 경우 하이버네이트는 경고 로그를 남기고 모든 DB 데이터를 읽어서 메모리에서 페이징을 시도하게 되고 최악의 경우 장애가 발생한다.

( 1 : 1 관계는 fetch join을 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

 


fetch join을 사용하면서 페이징 적용

컬렉션 엔티티를 조회하고 페이징 기능까지 함께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방법
  1. 먼저 ToOne (OneToMany, OneToOne) 관계를 모두 페치 조인한다. (ToOne 관계는 row수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페이징 쿼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데이터 중복 문제 X)
  2. 컬렉션은 지연 로딩으로 조회한다. (fetch 조인 사용 x)
  3. 지연 로딩 성능 최적화를 위해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또는 @BatchSize 를 적용한다.
이 옵션들을 사용하면 컬렉션이나, 프록시 객체를 한꺼번에 설정한 size IN 키워드를 사용해 조회한다.
-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글로벌 설정 ( 주로 사용 )
- @BatchSize: 어노테이션을 붙여 개별 최적화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사이즈 설정하기

default_batch_fetch_size 의 크기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고민이 있을 수 있다.

적당한 사이즈를 골라야 하는데, 100~1000 사이를 선택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 수치는 SQL IN 절을 사용하는데,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IN 절 파라미터를 1000으로 제한하기도 한다.

1000으로 잡으면 한번에 1000개를 DB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불러오므로 DB에 순간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은 100이든 1000이든 결국 전체 데이터를 로딩해야 하므로 메모리 사용량이 같다.

1000으로 설정하는 것이 성능상 가장 좋지만, 결국 DB든 애플리케이션이든 순간 부하를 어디까지 견딜 수 있는지로 결정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