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이크로미터란? 서비스를 운영할 때는 애플리케이션의 CPU, 메모리, 커넥션 사용, 고객 요청수 같은 수 많은 지표들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 어디에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 사전에 대응도 할 수 있고, 실제 문제가 발생해도 원인을 빠르게 파악해서 대처할 수 있다. 모니터링 툴은 시스템의 다양한 정보를 받아 우리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모니터링 툴이 작동하려면 시스템의 다양한 지표들을 각각의 모니터링 툴에 맞도록 만들어서 보내주어야 하는데, 모니터링 툴마다 정해진 포멧방식이 다 다르다. 만약 기존에 사용하던 모니터링 툴에서 모니터링 툴을 변경하면 기존에 측정했던 코드를 모두 변경한 툴에 맞도록 다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마이크로미터라(Mic..
프로메테우스란?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메트릭(지표)을 그 순간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이력까지 함께 확인하려면 메트릭을 보관하는 DB가 필요하다. 프로메테우스가 바로 이러한 메트릭을 지속해서 수집하고 저장하는 DB 역할을 담당한다. 프로메테우스의 기능 아래는 프로메테우스의 검색창에 http_server_requests_seconds_count (특정 URI의 HTTP 요청 수)를 입력해 실행한 결과이다. 보면 각 URL의 요청 마다 끝에 얼마의 요청이 왔는지 분리가 되어있다. 그리고 마이크로미터에서 메트릭 정보를 구분하는 태그를 프로메테우스에는 레이블(Lable)이라고 한다. 이 결과에서 해당하는 레이블을 보면 "error , exception , instance , job , method , o..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 새 글 쓰기 |
W
W
|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 맨 위로 이동 |
T
T
|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