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쿼리 별로 JOIN이 어떻게 인덱스를 사용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볼 예정이다. 드라이빙 테이블과 드리븐 테이블설명하기 앞서 드라이빙 테이블과 드리븐 테이블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드라이빙 테이블 (Driving Table)조인이 실행될 때 첫 번째로 액세스되는 테이블선행 테이블(Outer Table)이라고도 부름쿼리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침일반적으로 더 작은 결과 집합을 반환하는 테이블이 드라이빙 테이블로 선택되는 것이 유리 드리븐 테이블 (Driven Table)드라이빙 테이블에서 읽힌 데이터를 기준으로 조인되는 테이블후행 테이블(Inner Table)이라고도 부름드라이빙 테이블의 각 레코드마다 접근됨 좀더 쉬운 이해를 위해 아래 쿼리를 살펴보자.SELECT *FROM employ..
기본 문법들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QueryDSL을 사용하기 위한 세팅 방법이나 사용방법들에 대해 알고 싶다면 아래의 포스팅들을 참고하면 된다. 2023.07.10 - [오픈소스] - QueryDSL 사용법, DTO 반환 방법 정리 2023.06.27 - [오픈소스] - [QueryDSL] 스프링부트 3.x 버전에서 QueryDSL 설정하기 QueryDSL 문법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QueryDSL은 JPAQueryFactory를 사용하여 JPQL을 생성하고 실행한다. 작성하는 쿼리문을 보면 JPQL 문법이랑 동일하고, 뒤에 . 을 붙여 체인으로 연결하여 java 코드로 작성한다. // static import 방법으로 작성 import static study.querydsl.entity.QMember...
Join ( 문자열을 만드는 메서드 ) join 메서드는 문자열 배열이나 List를 파리미터에 입력한 "합칠 문자"와 합쳐진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 join("합칠 문자", 대상)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Arr = {"A", "B", "C", "D"}; List animals = new ArrayList(List.of("고양이", "치타", "코끼리", "호랑이")); System.out.println(String.join(" ", strArr)); System.out.println(String.join("..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 새 글 쓰기 |
W
W
|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 맨 위로 이동 |
T
T
|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